인간은 가랑잎이 바람에 날리는 것처럼 세상에 왔다가 그 잎이 바닥에 떨어지듯 세상을 등진다. 작가와 감독은 긴 듯 짧은 시간을 소풍 가듯 다녀가는 우리네 삶을 여러 세대의 인물들을 한 프레임에 배치하여 드라마 한 시즌에 모두 담는 데 성공했다.
인간은 가랑잎이 바람에 날리는 것처럼 세상에 왔다가 그 잎이 바닥에 떨어지듯 세상을 등진다. 작가와 감독은 긴 듯 짧은 시간을 소풍 가듯 다녀가는 우리네 삶을 여러 세대의 인물들을 한 프레임에 배치하여 드라마 한 시즌에 모두 담는 데 성공했다.
설국열차, 옥자, 기생충까지는 그런 생각이 없었는데, 이번 미키 17을 보면서는 봉준호 감독이 ‘이제 좀 다른 이야기를 해도 좋을 것 같은데…’ 하는 생각을 하게 됐다.
아이묭이 한국에서 공연을 하게 되었고, 어제는 그 티켓팅의 오픈일이었다. 음악을 좋아하긴 하지만 여러 이유로 공연을 자주 찾아다니는 편은 아닌데, 그녀의 공연은 한번 가보고 싶었다. 물론 결과는 실패.(친구도 마찬가지) 하지만 그녀가 왜 그런 수고를 들일만 한지 한번 이야기해 볼까?
망각의 긍정적 기능을 확인할 수 있는 사건들이 천천히 하지만 거미줄처럼 이어지는 소설. 초반의 지루함을 잘 참아낸다면 여러 등장인물들의 기억의 조각들이 티테일한 감정선 아래 입체적으로 조립되는 모습을 만나볼 수 있다. 판타지적 전투장면의 쾌감은 덤.
출간물에서 Steidl이라는 이름을 발견할 때, 당신은 마치 정교하게 재단된 한 벌의 맞춤 슈트처럼 독창적이고 세련된 인쇄물을 마주하게 될 거다. 독일 괴팅겐에 위치한 이 작은 출판사는 책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통해 예술을 실현한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게르하르드 슈타이들(Gerhard Steidl)이 있다.
라이선스 음반을 들으면 브루노 마스나 레이디 가가 모두 너무 쉽게 불러서 평범한 발라드 같이 들린다. 노래 조금 불렀던 사람이라면 곡이 분명히 따라 불러보기도 할 테지. 그런데, 너무 쉽다고 느끼셨나요? 미안한데 한 옥타브 올려 부르셔야 합니다. 이 곡의 보컬 레인지는 무려 G#3-C#6이다. 인터넷에서 커버를 찾아보기 힘든 이유가 뭔지 이제 아시겠죠? 몇몇 커버가 있긴 하지만 모두 키를 낮춰 부르고 있다.
삶과 죽음, 그리고 그 이상의 형이상학적 존재인 인간에 대한 고찰이 처절하게 담겨있는, 읽는 내내 머릿 속에서 ‘뎅~’ 하고 종이 울리는 것만 같았던 소설.
추리소설 치고는 초반에 약간 지루하기도 하고 주인공들이 사건을 해결해 나가는 방식도 평범해서 중도하차를 할까 심각하게 고민했었음. 하지만 종반부의 휘몰아치는 전개와 처절한 마무리에는 박수가 절로 나온다고 할까? 게다가 이야기를 관통하는 작가의 사형제도에 대한 나름대로의 고민이 이 책을 장르소설에서 머물지 않게 해 주었다고 생각함.
★★★☆☆ 소재가 특이하긴 하지만 스토리의 진행은 무던함. 짧은 문장이 감각적으로 이어지며 스피디하게 진행되는 초반부에는 ‘뭔가가 일어나려나?’하는 기대감도 있었지만 그게 다였음. 이걸 읽고 드라마화를 떠올렸다고? 창의력에 기반한 감은 능력이라는 걸 깨달음. 하긴 그 평가는 드라마를 마저 다 보고 •_•
말 그대로 책을 들면 절대로 놓을 수 없는 이 작품은, 누가 뭐래도 자랑할 만한 눈부신 인류의 유산 중 하나다. 디테일한 과학적 지식을 기반으로 외계문명과의 공조를 통한 엄청난 스케일의 인류구원 대서사를 펼쳐내는 앤디 위어를 감히 누가 천재가 아니라 할 수 있을까? 나는 별 다섯 개를 쉽게 주는 사람이 아님.…
Begin typing your search term above and press enter to search. Press ESC to canc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