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팟도 아닌데 부착이 인식되고, 나의 디바이스 찾기에 등록되며, 심지어 본체에서 떨어졌을 때 알림까지 옴. (카드만 밀려 떨어졌을 때는 노노)
에어팟도 아닌데 부착이 인식되고, 나의 디바이스 찾기에 등록되며, 심지어 본체에서 떨어졌을 때 알림까지 옴. (카드만 밀려 떨어졌을 때는 노노)
그렇다고 ‘시드니!’의 번역이 훨씬 더 뛰어나다는 이야기는 아니고, 어느 쪽이든 그다지 재미가 없었다.
기타나 드럼, 사실 엄청난 연주라고 할 수는 없지만, 그것이 밴드 음악에서 만큼은 절대적인 필요 조건이라 할 수 없다는 걸 이들은 음악으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둘 다 예능을 오래 해서 말하는 목소리가 너무 익숙해졌거든요. 잘 부르지만, 왠지 친한 친구와 노래방 온 느낌이랄까?
‘배를 엮다’라는 영화가 있어요. 국내에는 ‘행복한 사전’으로 소개되었습니다만. 책이 더 재미있다는 이야기를 듣긴 했는데, 우연히 집에서 뒹굴뒹굴하다가 영화부터 먼저 보게 되었죠.(사는 게 참 계획대로 안 돼요. 그렇죠?) 어쨌든, 구성은 전형적인 일본 드라마식 – 특별한 위기도 없고, 못된 놈도 등장하지 않으며…
개인적으로 세상에서 가장 완벽하다고 생각하는 곡이 있는데 바로 Coldplay의 ‘Viva La Vida’가 그 곡이다. 우선 도입부의 귀를 당기는 신스의 리듬부터 레전드인데, 이 훅 리듬을 음악 내 현악기들까지 반복하면서 이 정도로 끝까지 끌고 갈 줄은 몰랐다. 이후 리듬에 중독된 채로 만나게 되는 현악기의 슬픈 선율과…
우린 늘 무엇을 말하느냐에 정신이 팔린 채 살아간다. 하지만 어떤 말을 하느냐보다 어떻게 말하느냐가 중요하고, 어떻게 말하느냐보다 때론 어떤 말을 하지 않느냐가 더 중요한 법이다. “언어의 온도” 중에서 책 전체에서 마음에 드는 건 이거 하나였다. (물론 그건 나만 그런 걸…
여름에는 누가 뭐래도 기타라구요. 길을 나서는 것만으로 이마에 송골송골 땀이 맺힐 때 즈음이면 전 늘 Depapepe의 곡을 걸고 다녔죠. ‘Summer Parade’부터 ‘Kiss’까지.
마스모토 카즈야는 가이낙스에서 ‘천원돌파 그렌라간’, ‘팬티 & 스타킹 with 가터벨트’를, 이후 트리거를 설립한 후 ‘킬라킬’을 제작한 꽤 대단한 제작자다. 저 애니메이션들은 모두 감탄하면서 봤던 기억이 있기 때문에 그의 ‘애니메이션 제작 독본’이라는 책을 집어들지 않을 수가 없었다.
이 영화는 있을 법한 이야기다. 사실 모든 영화는 있을 법한 이야기일 것이다. 하지만, 이 영화는 그런 모든 영화들 사이에서 가장 있을 법한 이야기가 아닐까 생각한다. 살아간다는 것은 무거운 것이다. 세상의 모든 생물들이 살아가지만, 생각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덕에 인간의…
Begin typing your search term above and press enter to search. Press ESC to canc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