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키 17

★★★☆☆

설국열차, 옥자, 기생충까지는 그런 생각이 없었는데, 이번 미키 17을 보면서는 봉준호 감독이 ‘이제 좀 다른 이야기를 해도 좋을 것 같은데…’ 하는 생각을 하게 됐다. 사실 나는 이 영화가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했던 소재에 더 관심이 많았어서, 영화를 보면서도 머릿속으로는 따로 그 생각만 했던 것 같다. 육체와 기억의 관계. 기술의 발전으로 육체도 재생산이 가능하고 기억도 전기적 신호로 전이가 가능하다면, 인간이 영원히 살게 되었다고 할 수 있을까? 그런 기술로 레플리카가 동시에 존재하게 될 수 있다면, 우리는 이를 어떻게 정의 내려야 할까? 내가 둘, 혹은 셋이 된다면… 그 시점에서부터는 서로 다른 기억을 가지게 될 때, 진정한 나는 누굴까? 이런 상황의 철학적인 정리가 가능하다 해도, 이후 사회적 정의까지 생각하면 정말 해결해야 할 일들이 산더미다. 

나는 이런 부분을 건드려줄 거라 생각해서 그랬는지 이번 작품에 약간은 실망했다. 

재미없는 것은 아님. 하지만, 아주 재밌는 것도 아님. 볼때 두시간이 넘는 줄은 몰랐음. 그럼 재밌었던 건가? 헛갈림.

글을 쓰고, 그림을 그립니다. 멍하니 있는 걸 더 좋아하긴 하지만...
Posts created 542

Related Post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Begin typing your search term above and press enter to search. Press ESC to cancel.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