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팟캐스트] 클로드 코드 훅: 에이전트 코딩의 필수요소

유튜브 채널 “IndyDevDan”의 클로드 훅 관련 클립의 내용을 중심으로 에이전트 기반 코딩의 발전된 측면을 설명하는 팟캐스트입니다. 이 기능은 사용자가 에이전트의 동작을 정밀하게 제어하고 관찰할 수 있도록 하여, 자동화된 코드 생성 및 실행 과정에서 안정성과 효율성을 높여주는데요. 특히, pre-tool use 훅을 통해 위험한 명령을 차단하고, post-tool use 훅으로 실행 후…

관찰가능성과 모니터링

관찰가능성(Observability)이라는 용어는 루돌프 E. 칼만(Rudolf E. Kálmán)이 1960년대에 제어 이론 분야에서 처음 사용했습니다. 관찰가능성은 시스템 내부 상태의 외부 출력(output)을 통한 추론 가능성에 대한 개념이라고 볼 수 있어요. 

UI/UX: 지속적인 변경

덕분에 그래프가 늘 복잡하다. 플랫 하게 복잡한 모든 것을 다 담아야 하니 레이어별로 세세히 설계하지 않으면 의도를 사용자에게 제대로 전달할 수 없다. 변경하면서 다시 제일 처음 안으로 돌아간 적도 있으니 개발자나 다른 사람들은 얼마나 짜증 날까.

애플의 혁신: Apple Intelligence(WWDC24)

지금까지의 생성형 AI는 개인화와는 거리가 멀었습니다. 내 말을 이해하는 아주 똑똑한 모르는 사람이라고 할까요? 임팩트 있는 여러 서비스들이 론칭되었지만 그것들은 대부분 일반화된 지식을 활용하는 부분에서 머물 수밖에 없었어요. 물론 그것만으로도 엄청났기 때문에 우리는 생성형 AI에 완전히 매혹되었지만, 그 서비스가 나의 생활과…

생성형 AI claude3와 그 진화에 대한 단상

클로드 3 모델의 퀄리티가 대단한 것도 사실이지만, 이 모델이 화두가 되고 있는 건 바로 Alex라는 Anthropic 프롬프트 엔지니어가 X에 올린 이 피드 때문일 겁니다. 이 피드에 따르면 엔지니어들은 Claude 3 모델의 기억력을 테스트하기 위해 긴 도큐먼트 가운데 생뚱맞은 문장을 하나 집어넣고 이것을 찾아달라는 요청을 했다고 해요. 

Begin typing your search term above and press enter to search. Press ESC to cancel.

Back To Top